바로 '생활 꿀팁' 카테고리의 글 목록 (10 Pag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활 꿀팁147

집마다 있는 ‘누전차단기’ 제대로 쓰는 법 — 테스트 주기, 교체 신호, 환경별 안전 레이어까지 전기 사고는 ‘언젠가’가 아니라 ‘언제든’입니다. 현관이나 다용도실의 분전반에 있는 누전차단기(Residual Current Device; RCD) 는 전선이나 기기에서 전류가 새는 순간 회로를 떨어뜨려 감전 위험을 크게 낮추는 보호 장치예요. 문제는 설치만 해두고 방치하면 제 역할을 못 한다는 점. 이 글은 월 1회~분기 1회 정기 점검, 교체 신호, 장소별 안전 레이어를 한 번에 정리해, 오늘 바로 실천할 수 있게 돕습니다. (에디터 노트: 우리 집도 달력에 ‘RCD 체크’ 스티커를 붙여두니 놓치지 않게 되더라고요.) 🔌 누전차단기, 무엇을 막고 무엇은 못 막나 차단기는 누설전류를 감지해 빠르게 전원을 끊어 치명적 감전을 줄여 줍니다. 다만 과전류나 선과 선의 직접 단락은 과전류 차단기(MCB/MC.. 2025. 9. 28.
🧪 집에서도 꼭 알아야 할 ‘GHS 경고표지’ 읽는 법: 생활화학제품 라벨 한 번에 끝내기 가정에서 사용하는 세정제, 표백제, 방향제, 살충제 같은 제품은 대부분 화학 성분을 포함합니다. 그런데 라벨의 빨간 마름모 그림이나 복잡한 문구를 대충 넘기면, 혼합 금지·환기 필요 같은 핵심 안전 경고를 놓치기 쉽습니다.오늘은 세계 공통 체계인 GHS(화학물질 분류·표시 국제조화시스템) 기준에 따라, 그림문자(피크토그램) → 신호어(위험/경고) → 유해·예방 문구 → 제품식별자 → 공급자 정보까지 실제 생활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라벨 읽기법을 정리했습니다. 🧯 왜 GHS 라벨을 알아야 할까? GHS 라벨은 전 세계 어디서든 동일하게 위험 정보를 전달하도록 만든 국제 표준입니다. 제품마다 제각각이던 경고 방식을 하나로 통일해, 누구나 직관적으로 위험을 이해할 수 있게 했습니다.한국도 환경부·소방청·.. 2025. 9. 28.
🔋리튬이온 배터리, 집·사무실에서 ‘안전하게’ 쓰는 실전 가이드 스마트폰과 노트북, 무선청소기, 전동 킥보드까지—하루에 몇 번이나 배터리를 만집니다.편리함 뒤에는 ‘열폭주(thermal runaway)’라는 특성이 숨어 있어요. 낮은 확률이더라도 충격·과열·부정확한 충전이 겹치면 내부 반응이 걷잡을 수 없이 커져 화재로 번질 수 있습니다.이 글은 공익적 안전에 초점을 맞춰, 국내외 안전기관 권고를 바탕으로 가정·사무실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충전·보관·폐기·대응 루틴을 정리했습니다.🧭 핵심 한 줄충전은 벽 콘센트에 바로 연결하고, 완충되면 즉시 분리하세요.사람 없는 밤샘·외출 중 충전은 피하고, 통풍되는 단단한 바닥에서 가연물과 거리를 두면 안전 여유가 커집니다.🔎 위험 신호 체크리스트배터리에 부풀어 오름, 매캐한 냄새, 변색, 누액, 소리, 과열이 보이면 즉시 사.. 2025. 9. 27.
우리집 라돈, “체류·공유·가치”를 올리는 업그레이드 최종본 라돈은 냄새도 색도 없는 자연 유래 실내 방사성 가스입니다. 대부분의 가정에서 생활 중에 수치가 오르내리지만, 절차를 갖추면 충분히 관리할 수 있어요. 핵심은 측정 → 원인 차단 → 지속 환기/배기 → 재측정의 순서입니다. 이 글은 광고 없이 국내외 공신력 있는 가이드를 바탕으로, 집 유형별 실천 루틴과 타이밍·비용감각·재측정 주기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 먼저, 내 집 상황 고르기 라돈은 집 구조와 사용 패턴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래 중 가장 가까운 유형 1개 이상을 골라 체크하세요. 🧱 단독/다가구(지하·1층 포함) 지면과 맞닿은 바닥, 배관 관통부, 벽체 조인트가 주요 경로입니다.틈새 보수: 바닥 슬래브 균열, 배관·전선 관통부를 탄성 실런트로 메우면 유입 통로가 줄어듭니다.환기 루.. 2025. 9. 26.
“엄마 목소리 맞아…?” 딥페이크 전화·영상 사기, 생활 속에서 이렇게 막는다 인트로요즘 사기꾼들은 문자 링크를 넘어서 가짜 화상통화와 인공지능 음성 모사까지 씁니다. 목소리·표정까지 그럴싸하니, 순간적으로 판단을 잃기 쉬워요. 기술은 계속 정교해지지만, 다행히 절차 중심의 습관만 들이면 막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생활형 체크리스트, 바로 쓰는 확인 질문 스크립트, 피해 직후 1·3·24시간 액션 플랜을 한 번에 정리합니다. 오늘 당장 실행할 수 있도록 군더더기 없이 구성했습니다. 🧭 10초 의심 신호 7가지(체크리스트) 딱 10초만 써도 가짜 신호는 의외로 드러납니다.발신 특이점: 번호 비공개·070·해외 표기, 영상 대신 음성만 고집.음성 결 결함: 호흡·말 겹침·치찰음이 어색하거나 반응이 0.5초가량 늦음.고유 습관 회피: 가족만 아는 애칭·회사 은어를 회피.맥락 회.. 2025. 9. 26.
🔥가정용 소화기, 제대로 고르고 배치·점검하는 법 “1가정 1소화기”는 선택이 아니라 생활 안전의 기본이에요. 그런데 막상 사려면 종류가 너무 많고, 어디에 둬야 하는지·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헷갈리죠. 이 글은 가정에서 꼭 알아야 할 소화기 선택·배치·사용·점검·폐기까지 한 번에 정리한 실천 가이드입니다. 국내 공공기관 가이드와 국제 기준(NFPA 10)에서 변하지 않는 원칙만 추렸고, 일상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체크리스트와 경험 기반 팁을 덧붙였습니다. 🧯 어떤 소화기를 살까? 핵심만 고르기 가정용 기본 선택지는 ABC 분말, 강화액, **CO₂(이산화탄소)**입니다.ABC 분말: 종이·목재(A), 유류(B), 전기(C) 화재에 두루 대응. 가격·범용성이 좋아 첫 장비로 적합합니다. 다만 분말 잔여물 청소와 전자기기 부식 위험을 기억하세요... 2025. 9. 25.
반응형